본문 바로가기
학습

'못하다' vs '못 하다' 차이점 완벽 정리 - 헷갈리는 맞춤법 한 번에 해결!

by inforabbi 2025. 9. 22.

'못하다' vs '못 하다' 차이점 완벽 정리 - 헷갈리는 맞춤법 한 번에 해결!

들어가며

한국어를 사용하다 보면 가장 헷갈리는 것 중 하나가 바로 '못하다'와 '못 하다'의 구분입니다. 단순히 띄어쓰기의 차이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문법적 의미가 완전히 다른 표현입니다.

이 글에서는 두 표현의 차이점을 명확하게 정리하고, 실제 사용 예시를 통해 정확한 맞춤법을 익힐 수 있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

 

 

 

1. '못하다' - 붙여 쓰는 경우

기본 개념

'못하다'는 하나의 형용사로, 어떤 사람이나 사물, 행동이 다른 것보다 수준이 낮거나 능력이 떨어질 때 사용합니다.

문법적 특징

  • 하나의 단어로 붙여 씁니다
  • 비교 대상이 있는 문장에서 자주 사용
  • '보다', '만' 같은 비교격 조사나 의존명사 앞에서 주로 활용
  • 상대적 평가의 의미가 강함

사용 예문

✅ 그녀는 나보다 노래를 못하다.
✅ 그는 형보다 운동을 못한다.
✅ 지난번 발표가 이번 발표만 못했다.
✅ 이 제품은 전작만 못하다.

핵심 포인트

'못하다'는 수준이나 능력의 상대적 비교를 나타내므로, '~보다'나 '~만' 같은 비교 표현과 함께 사용될 때는 반드시 붙여 써야 합니다.

 

 

 

2. '못 하다' - 띄어 쓰는 경우

기본 개념

'못 하다'는 두 개의 단어로 구성된 표현입니다. '못'은 부정부사, '하다'는 본동사로서 어떤 행위를 하지 못함을 나타냅니다.

문법적 특징

  • '못'(부사) + '하다'(동사)로 띄어 씁니다
  • '안 하다'와 비슷한 문법 구조
  • '하지 못하다'로 바꿔 쓸 수 있으면 대부분 띄어쓰기가 맞습니다
  • 능력 부족, 상황적 제약, 의지 부족 등이 원인

사용 예문

✅ 그는 피곤해서 숙제를 못 했다. (→ 하지 못했다)
✅ 시간이 없어 약속을 지키지 못 했다. (→ 지키지 못했다)  
✅ 나도 그 말은 못 하겠다. (→ 하지 못하겠다)
✅ 너무 바빠서 전화를 못 받았다. (→ 받지 못했다)

핵심 포인트

부정의 의미가 강하고, '하지 못했다'로 바꿔 말이 된다면 반드시 띄어 써야 합니다.

 

 

 

3. 구분하는 간단한 방법

📌 핵심 구분 팁

  1. '하지 못했다'로 바꿔보기
    • 바뀐다 → 띄어쓰기 (못 하다)
    • 안 바뀐다 → 붙여쓰기 (못하다)
  2. 비교 표현 확인하기
    • '~보다', '~만' 있다 → 붙여쓰기 (못하다)
    • 없다 → 띄어쓰기 가능성 높음 (못 하다)

실전 연습 예제

❓ 그는 노래를 (못한다/못 한다)
→ 상황에 따라 둘 다 가능!

✅ 그는 노래를 못한다 = 노래 실력이 형편없다 (능력 평가)
✅ 그는 노래를 못 한다 = 노래를 할 수 없다 (상황적 제약)

 

 

 

4. 활용형과 주의사항

'못하다'의 활용

  • 못한, 못해서, 못하겠어 (어간 '못하-'에 어미 결합)
  • 하나의 단어로 활용

'못 하다'의 활용

  • 못 했던, 못 하는 중, 못 하고 (각각 따로 활용)
  • 두 단어가 각각의 활용을 따름

⚠️ 주의할 점

같은 문장이라도 맥락에 따라 의미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5. 자주 틀리는 사례와 올바른 표현

틀리기 쉬운 예문들

❌ 그는 나 보다 못 하다 → ✅ 그는 나보다 못하다
❌ 시간이 없어서 못했다 → ✅ 시간이 없어서 못 했다  
❌ 이번 시험이 지난번 만 못 했다 → ✅ 이번 시험이 지난번만 못했다

올바른 사용법 정리

상황 올바른 표현 잘못된 표현
비교 평가 그보다 못하다 그보다 못 하다
부정 행위 숙제를 못 했다 숙제를 못했다
능력 부족 수영을 못 한다 수영을 못한다

 

 

 

마무리

'못하다'와 '못 하다'는 단순한 띄어쓰기 차이가 아닌, 의미와 문법이 완전히 다른 표현입니다.

핵심만 기억하세요:

  • 비교할 때는 붙여 쓰기 (못하다)
  • 못한다는 뜻일 때는 띄어 쓰기 (못 하다)
  • 헷갈릴 때는 '하지 못했다'로 바꿔보기

이제 '못하다'와 '못 하다'를 정확하게 구분하여 더욱 정확한 한국어 생활을 해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