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2025 연봉 실수령액표 총정리 - 연봉 3천부터 1억까지! 월급 실수령액 확인

by inforabbi 2025. 4. 10.

2025 연봉 실수령액표 총정리 - 연봉 3천부터 1억까지! 월급 실수령액 확인

 

연봉 실수령액이란 무엇인가?

연봉과 실수령액의 차이

연봉은 회사와 근로자가 약정한 총 지급액을 의미하지만, 실수령액은 세금 및 4대 보험 공제 후 실제 입금되는 금액입니다. 같은 연봉이라도 실수령액은 개인별로 다를 수 있으며, 특히 부양가족 수, 비과세 수당, 공제 항목 등에 따라 차이가 큽니다.

공제되는 세금 항목

2025년에도 실수령액에 영향을 주는 주요 공제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국민연금: 월 소득의 4.5%
  • 건강보험료 + 장기요양보험료: 건강보험 3.545%, 장기요양보험료 12.81% 추가 부과
  • 고용보험료: 0.9%
  • 소득세 + 지방소득세: 과세표준에 따라 누진세율 적용

 

 

 

2025년 기준 주요 세금 공제 항목

국민연금 공제율

  • 2025년에도 월 급여의 9% 중 4.5%를 근로자 부담 (나머지 4.5%는 회사 부담)
  • 국민연금 상한액: 월 573만원 기준 → 최대 약 25.8만원까지 공제 가능

건강보험 + 장기요양보험료

  • 건강보험: 3.545%
  • 장기요양: 건강보험료의 12.81% 추가 부과
    예: 월급 400만원 기준 → 건강보험료 약 14.2만원 + 장기요양 약 1.8만원

고용보험료

  • 월 소득의 0.9% 공제
    예: 월급 300만원 기준 → 고용보험 약 2.7만원

소득세와 지방소득세

  • 소득세는 과세표준에 따라 누진 적용
  • 지방소득세는 소득세의 10% 추가

예: 소득세 10만원일 경우 → 지방소득세는 1만원

 

 

 

 

연봉별 실 수령액 계산 방법

월 급여 기준 공제 방식

실수령액은 기본급여에서 위의 4대 보험 및 세금을 공제하여 계산합니다.
기본 공식:

실수령액 = 월급 – (국민연금 + 건강보험 + 장기요양 + 고용보험 + 소득세 + 지방소득세)

연간 공제 총액 계산법

연간 공제 금액을 계산하려면 월별 공제 총액을 12개월 곱해서 확인합니다.
연봉과 공제액 간 차이가 실제 연간 실수령액이 됩니다.

 

 

 

 

2025 연봉 실수령액표 (예상치)

아래는 2025년 세율 기준으로 산정한 예상 실수령액표입니다. (비과세 수당 제외, 1인 근로자 기준)

연봉 월 실수령액 (세후) 연간 공제액
30,000,000 약 2,220,000원 약 3,360,000원
40,000,000 약 2,890,000원 약 4,320,000원
50,000,000 약 3,560,000원 약 5,280,000원
60,000,000 약 4,150,000원 약 6,600,000원
70,000,000 약 4,750,000원 약 7,800,000원
80,000,000 약 5,330,000원 약 8,960,000원
100,000,000 약 6,450,000원 약 12,600,000원

※ 부양가족 수, 소득공제 항목, 식대·자녀수당 등 비과세 포함 시 달라질 수 있음

 

연봉 월급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 소득세 지방소득세 총 공제액 실수령액
25,000,000 2,083,333 93,750 73,854 9,564 18,750 22,000 2,209 220,217 1,863,116
26,000,000 2,166,667 97,500 76,808 9,947 19,500 24,660 2,466 230,881 1,935,786
27,000,000 2,250,000 101,250 79,763 10,329 20,250 27,560 2,756 241,908 2,008,092
28,000,000 2,333,333 105,000 82,717 10,712 21,000 30,130 3,013 252,571 2,080,762
29,000,000 2,416,667 108,750 85,671 11,094 21,750 32,700 3,270 263,235 2,153,431
30,000,000 2,500,000 112,500 88,625 11,477 22,500 35,600 3,560 274,262 2,225,738
31,000,000 2,583,333 116,250 91,579 11,860 23,250 38,340 3,834 285,113 2,298,221
32,000,000 2,666,667 120,000 94,533 12,242 24,000 44,820 4,482 300,077 2,366,589
33,000,000 2,750,000 123,750 97,488 12,625 24,750 52,530 5,253 316,395 2,433,605
34,000,000 2,833,333 127,500 100,442 13,007 25,500 59,370 5,937 334,756 2,501,577
35,000,000 2,916,667 131,250 103,396 13,390 26,250 66,220 6,622 347,128 2,569,539
36,000,000 3,000,000 135,000 106,350 13,772 27,000 74,350 7,435 363,907 2,636,093
37,000,000 3,083,333 138,750 109,304 14,155 27,750 81,190 8,119 379,268 2,704,065
38,000,000 3,166,667 142,500 112,258 14,537 28,500 88,000 8,800 394,640 2,772,027
39,000,000 3,250,000 146,250 115,213 14,920 29,250 95,430 9,543 410,606 2,839,394
40,000,000 3,333,333 150,000 118,167 15,303 30,000 105,210 10,521 429,200 2,904,133
41,000,000 3,416,667 153,750 121,121 15,685 30,750 114,990 11,499 447,795 2,968,872
42,000,000 3,500,000 157,500 124,075 16,068 31,500 127,220 12,722 469,085 3,030,915
43,000,000 3,583,333 161,250 127,029 16,450 32,250 137,000 13,700 487,679 3,095,654
44,000,000 3,666,667 165,000 129,983 16,833 33,000 146,780 14,678 506,274 3,160,392
45,000,000 3,750,000 168,750 132,938 17,215 33,750 156,560 15,656 524,869 3,225,131
46,000,000 3,833,333 172,500 135,892 17,598 34,500 167,730 17,193 549,613 3,283,721
47,000,000 3,916,667 176,250 138,846 17,981 35,250 182,610 18,261 569,197 3,347,469
48,000,000 4,000,000 180,000 141,800 18,363 36,000 194,880 19,488 589,531 3,410,469
49,000,000 4,083,333 183,750 144,754 18,746 36,750 206,740 20,674 611,034 3,472,298
50,000,000 4,166,667 187,500 147,708 19,128 37,500 217,320 21,732 630,889 3,535,778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 사용법

 

 

연봉 실수령액 관련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연봉에서 실제로 얼마나 받나요?

A. 세금 및 4대 보험을 제외하면 약 78~85% 수준의 실수령액을 받게 됩니다.

Q2. 4대 보험 미가입자는 실수령액이 늘어나나요?

A. 네, 월 실수령액은 늘지만 퇴직금, 실업급여 등 혜택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Q3. 연봉 5천이면 월 실수령은?

A. 약 356만 원 전후입니다. 부양가족 수나 비과세 항목에 따라 달라집니다.

Q4. 소득공제는 어떻게 반영되나요?

A. 연말정산 시 인적공제, 보험료공제 등을 통해 세금 환급 또는 추가 납부가 결정됩니다.

Q5. 퇴직금 포함 연봉이면 계산은?

A. 연봉의 1/13을 퇴직금으로 분리해야 정확한 실수령액 계산이 가능합니다.

Q6. 실수령액 높이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비과세 수당 활용, 인적공제 확대, 연금저축 등 절세 상품 활용이 효과적입니다.

 

 

외부 참고 링크:
🔗 국세청 연봉 계산기
🔗 고용노동부 급여 계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