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습

결재 vs 결제 – 비즈니스 필수 표현 정확하게 구별하는 법

by inforabbi 2025. 4. 16.

 

‘결재’와 ‘결제’는 완전히 다른 뜻을 가진 단어입니다. 이 글에서는 두 표현의 차이, 예문, 사용 팁, 올바른 맞춤법을 정리해드립니다. 업무 실수 방지 필독!

 

 

1. 비슷하지만 전혀 다른 단어

‘결재’와 ‘결제’는 발음이 거의 동일해 많은 사람들이 자주 헷갈려 합니다. 특히 회사 업무, 이메일 작성, 회의록 작성 등에서 잘못된 단어 사용은 신뢰도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두 단어는 의미, 상황, 품사 모두 완전히 다른 단어입니다.

 

 

 

 

2. ‘결재’의 뜻과 쓰임

✅ 정의

  • 결재(決裁): 상급자가 부하 직원의 안건이나 문서를 검토하고 허락 또는 승인하는 행위
  • 주로 회사나 공공기관의 결재 절차에서 사용

✅ 사용 상황

  • 사내 보고서, 휴가 신청서, 지출 내역서 등
  • 상사의 결재 없이는 다음 단계로 진행 불가

✅ 예문

  • 오늘 오전에 부장님께 결재를 받았습니다.
  • 문서를 상무님께 결재 올려 주세요.
  • 프로젝트 계획안이 결재 대기 중입니다.

👉 결재는 반드시 상사의 판단과 허락이 수반되는 행위입니다.

 

 

 

 

 

3. ‘결제’의 뜻과 쓰임

✅ 정의

  • 결제(決濟):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받은 대가로 돈을 지불하는 행위
  • 쇼핑, 온라인 거래, 금융 거래 등에서 사용

✅ 사용 상황

  • 온라인 쇼핑, 카드 결제, 무통장 입금 등
  • 결제 수단: 현금, 카드, 간편결제 앱 등

✅ 예문

  • 주문 완료 후 카드로 결제했습니다.
  • 네이버페이로 결제하시면 5% 할인됩니다.
  • 결제 완료 문자가 도착했습니다.

👉 결제는 ‘돈을 지불하는 행위’, 즉 금전 거래와 직결됩니다.

 

 

 

 

 

4. 결재 vs 결제 – 핵심 비교표

항목 결재 (決裁)  결제 (決濟)
승인, 허락 대금 지불
사용 영역 회사, 행정, 조직 쇼핑, 금융, 전자상거래
주체 상사, 관리자 소비자, 사용자
예시 문장 보고서 결재 올려야 돼요. 카드로 결제했습니다.
발음 [결째] [결째]

 

 

 

 

 

 

5. 자주 헷갈리는 문장 예시

문장 맞춤법 설명
부장님께 결제 요청 드렸습니다. → 결재가 맞음 (승인 요청)
상품 주문 후 결재 완료 문자 받음 → 결제가 맞음 (지불 행위)
회의 자료는 내일 결재 예정입니다. 상사의 승인을 뜻함
정기 구독 서비스가 자동 결제됐어요. 자동 지불, 결제가 맞음

 

 

 

 

 

 

6. 구별하는 꿀팁

  • 결재 = 상사의 허락
    👉 “결재 서류”, “결재자”, “결재 라인”
  • 결제 = 돈 지불
    👉 “카드 결제”, “결제 수단”, “결제 완료”

📌 암기 팁 문장

“결재는 윗사람이, 결제는 내가 돈 낼 때!”

 

 

 

 

 

 

 

7. 자주 묻는 질문 (FAQs)

Q1. 상사의 도장을 받는 건 ‘결재’인가요, ‘결제’인가요?

→ ✅ 결재입니다. 도장을 받는 것은 문서 승인에 해당하므로 ‘결재’가 맞습니다.

Q2. 신용카드 사용은 ‘결제’인가요?

→ ✅ 네. 돈을 지불하는 모든 행위는 ‘결제’입니다. 현금, 카드, 간편결제 모두 포함됩니다.

Q3. ‘결재자’라는 표현도 맞나요?

→ ✅ 맞습니다. 문서를 승인하는 사람을 뜻하는 ‘결재자’는 실제로 공문서, 기업 문서에서도 자주 사용됩니다.

Q4. ‘자동 결재’와 ‘자동 결제’, 어떤 게 맞나요?

→ ‘자동 결제’가 맞습니다. ‘자동 결재’는 자동으로 승인을 내린다는 말이 되어 비현실적인 표현입니다.

 

 

 

 

 

마무리 – 단어 하나로 신뢰가 달라집니다

‘결재’와 ‘결제’는 단순한 철자 차이가 아니라, 행위의 성격 자체가 완전히 다른 단어입니다.
결재는 승인, 결제는 지불이라는 기본 개념만 기억한다면, 어떤 문장에서도 헷갈릴 일이 없습니다.

업무용 이메일, 회사 문서, 온라인 쇼핑몰, 어디서든 단어를 정확히 사용해보세요.
그 하나의 단어가 당신의 글을 신뢰 있게 만들고, 전문가처럼 보이게 해줍니다.

 

🔗 참고 자료